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소식 없는 한미박물관 건립

영국의 역사학자 에드워드 카(E. H. Carr)는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역사를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다. 과거는 현재로 이어지고, 다가올 미래는 현재가 켜켜이 쌓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의미다. 그렇다면 시간을 되돌려 가볼 수 없는 과거의 흔적을 보고, 경험하고, 느끼고 배울 수 있는 곳이 어디일까. 바로 역사박물관이다. 역사박물관에서 과거의 모습을 보고 경험한 것들이 현재를 조명하며 미래를 결정짓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역사를 통해서 뿌리와 민족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더 나은 미래의 꿈을 가꾸어 갈 수 있는 곳이 바로 역사박물관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역사가 없는 민족은 존재 가치가 없다.    올해 미주 한인이민 120주년을 맞았다. 1903년 1월13일, 102명의 한인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를 태운 첫 이민선인 갤릭호가 하와이 호놀룰루 항에 도착했다. 이들이 우리의 이민선조들이요, 미주 한인 이민역사의 시작이다. 그 후 결혼, 유학, 취업 그리고 가족초청 등 다양한 경로로 많은 한인이 미국에 거주하게 되었다.   1910년 일제는 강제 체결한 한일병합조약을 빌미로 우리나라의 통치권을 빼앗고 식민지로 삼았다. 이에 일제강점에 맞서 국권을 회복하려는 독립운동이 중국뿐만 아니라 미주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됐다. 건국 대통령 이승만 박사, 민족적 이념을 추구한 도산 안창호 등 많은 독립투사가 대한독립을 위해 분투한 터전이 바로 미국이다. 미국은 한인 최초 의학사를 취득한 서재필 박사를 비롯해 대한의 개혁 운동과 민주주의 가치를 드높인 숭고한 분들의 혼이 담겨있는 곳이다.   미주 한인 이민역사의 흔적들을 한 곳으로 모아 후세에게 민족의 얼을 일깨워 줄 공간이 있어야 함이 당연한 것 아닌가. 현재 250만 명의 한인이 살고 있는 미국에 아직 온전한 역사박물관이 건립되지 않았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역사박물관 건립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남가주 한인사회는 1991년부터 ‘한미박물관’ 건립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30년이 넘도록 진척 없이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지난 2013년 4월 LA시가 건물 부지를 거의 무상으로 장기임대해준 지 올해로 10년이 됐지만, 아직 설계 도면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아쉬운 것은 재정적으로 고 홍명기 회장이 생전에 250만 달러를 기부한 것을 비롯해 여러 독지가가 후원하였고, LA시와 가주, 연방정부까지 기금을 지원했는데도 아직 한미박물관 건립과 관련해 긍정적인 발표가 없다는 것이다.   한미박물관은 한인 이민역사를 알려 줄 대표적인 역사박물관이기에 꼭 건립되어야 한다. 역사가 없는 민족은 존재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영화와 드라마로 잘 알려진 ‘뿌리(Roots)’는 흑인 노예제도의 역사를 재조명한 작품이다. 한 가족의 여정을 통해 고통 속에서도 생존하고, 유산을 지키려는 그들의 의지를 다뤘다. 그들은 참혹함을 기억조차 하기 싫었겠지만, 뿌리를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과 자부심을 확립하려 했던 것 아니겠는가.   한인 1.5세, 2세들이 이민역사를 통해 뿌리를 알고, 정체성과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다민족 사회인 미국에서 중요한 일이다.     미주 한인 이민 120주년을 되돌아보면 자부심을 갖기에 충분하다. 비록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로 시작되었지만, 이제는 한인들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뿌듯한 것은 조국의 발전이다. 모든 분야에서 세계를 압도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 세계 청소년들이 열광하는 BTS, 블랙핑크 등 문화예술, 그리고 전자, 자동차 등 한인들이 자부심을 갖기에 충분하다.   한인 이민 120주년을 기점으로 한인 이민의 과거, 현재, 미래를 한 눈으로 보고, 알고, 배울 수 있는 한미박물관 건립이 절실하다. 이것은 이민 1세들이 꼭 해야 할 사명이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한미박물관 소식 한미박물관 건립 한인 이민역사 역사박물관 건립

2023-01-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